반응형 전체 글42 [대한약전/KP] 굴절률측정법 굴절률측정법 Refractive Index Determination 굴절률측정법은 검체의 공기에 대한 굴절률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광선이 어떤 매질로부터 다른 매질로 진행할 때 일반적으로 그 경계면에서 진행방향이 달라진다. 이 현상을 굴절이라 한다. 광선이 등방성 (等方性)의 제 1 매질로부터 제 2 매질로 들어갈 때 입사각 i의 sin 값과 굴절각 r의 sin 값과의 비는 입사각에 관계없이 그 두개의 매질 사이에서는 일정하다. 이것을 제 2 매질의 제 1 매질에 대한 굴절률 또는 상대굴절률이라 하며 n으로 나타낸다. 제 1 매질이 진공인 경우의 굴절률을 제 2 매질의 절대굴절률이라 하며 N으로 나타낸다. 등방성 물질인 경우 파장, 온도 및 압력이 일정할 때 굴절률은 그 물질의 고유한 정수로서 물질의 순.. 2022. 1. 27. [대한약전/KP] 선광도측정법 선광도측정법 Optical Rotation Determination 선광도측정법은 검체의 선광도를 선광계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광선의 진동은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일어나는데 보통의 광선에서는 그 진동방향이 한정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편광이라고 부르는 평면편광에서는 진동이 진행방향을 포함하는 한 평면 안에서만 일어나므로 이러한 광선은 편광면을 갖는다고 한다. 의약품 또는 그 용액 중에는 편광면을 우측 또는 좌측으로 회전시키는 성질을 가진 것이 있다. 이 성질을 광학활성 또는 선광성이라 하며 물질의 화학구조와 관계가 있다. 선광도는 광학활성물질 또는 그 용액이 편광면을 회전시키는 각도이며 선광계로 측정한다. 이 값은 측정관의 층장에 비례하고 용액의 농도, 온도 및 파장에 따라 달.. 2022. 1. 27. [대한약전/KP] 수분측정법 (칼피셔법) 수분측정법 (칼피셔법) Water Determination (Karl Fischer Method) 수분측정법은 메탄올 등의 저급알코올 및 피리딘 등 유기염기의 존재하에서 물이 요오드 및 이산화황과 다음 반응식과 같이 정량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이용하여 수분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I2 + SO2 + 3C5H5N + CH3OH + H2O → 2(C5H5N+H)I- + (C5H5N+H)-OSO2OCH3 측정법에는 용량적정법과 전량 (電量)적정법이 있다. 용량적정법은 반응에 필요한 요오드를 수분측정용시액 중에 녹이고 검체 중의 물과 반응하여 소비된 요오드의 적정량으로부터 수분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전량적정법은 요오드화물 이온을 함유한 수분측정용시액을 전해하여 요오드를 발생시킨 다음 요오드가 정량적으로 물과 반응하.. 2022. 1. 25. [대한약전/KP] 점도측정법 점도측정법 Viscosity Determination 점도측정법은 검체의 점도를 점도계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액체가 일정한 방향으로 운동하고 그 흐름에 수직인 방향에 속도의 차이가 있을 때 그 흐름에 평행한 평면의 양측에 내부마찰력이 생긴다. 이 성질을 점성이라 한다. 흐름에 평행한 평면의 단위면적당 내부마찰력을 전단응력 (剪斷應力)이라 하며 흐름에 수직인 방향의 속도기울기를 전단속도라고 한다. 전단응력이 전단속도에 비례하는 액체를 뉴턴액체라고 한다. 그 비례정수 η는 일정온도에서 그 액체의 고유한 정수로 점도라 한다. 그 단위는 파스칼초 (Pa·s)를 쓰지만 보통 밀리파스칼초 (mPa· s)로 표시한다. 또한 전단응력이 전단속도에 비례하지 않는 액체는 비뉴턴액체라 하고 이 액체의 점도는 전단속도에 따라.. 2022. 1. 24. [대한약전/KP] 융점측정법 융점측정법 Melting Point Determination 융점은 보통 결정성물질이 가열로 융해하여 고상과 액상이 평형상태가 될 때의 온도로 정의하지만 실용적으로는 검체를 가열 승온하는 과정에서의 상태변화를 관찰하여 융해종점의 온도를 측정하여 융점으로 한다. 융점은 순수물질에서는 각각의 물질의 고유한 값을 나타내므로 물질의 동정, 확인 및 순도의 지표로 쓴다. 융점은 다음 중 한 방법으로 측정한다. 비교적 순도가 높고 가루로 만들 수 있는 물질은 제 1 법으로, 물에 불용성이고 가루로 하기 어려운 물질은 제 2 법으로, 바셀린 류의 융점은 제 3 법으로 측정한다. 측정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제 1 법으로 측정한다. The Melting Point is defined to be the temperatu.. 2022. 1. 21. [대한약전/KP] 강열잔분시험법 강열잔분시험법 Residue on Ignition Test 강열잔분시험법은 검체를 다음 조작법에 따라 강열할 때 휘발하지 않고 남는 물질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보통 유기물 중에 불순물로 들어 있는 무기물 함량을 알기 위하여 쓰나, 때에 따라서는 유기물 중에 구성성분으로 들어있는 무기물 또는 강열할 때 휘발하는 무기물 중에 들어있는 불순물의 양을 측정하는 데 쓴다. 의약품각조에, 예를 들면 0.1 % 이하 (1 g)라고 규정하는 것은 이 약 약 1 g을 정밀하게 달아 다음 조작법에 따라 강열 하였을 때 그 잔분이 이 약 1 g에 대하여 1 mg 이하임을 나타낸다. 또 「건조한 다음」이라고 규정하는 때에는 건조감량 항의 조건으로 건조한 다음 검체를 채취한다. The Residue on Ign.. 2022. 1. 19.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