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2

생산 [내용고형제] 내용고형제: 원료의 균일성 중요 (입도, 성상, 비중에 따라 붕해, 경도, 용출 달라짐) 1. 과립 1) 원료 -> 공정관리에서 원료 확인 -> 이중 체크 (칭량) -> 원료투입 -> 사과 (여과, 균일성 확보) 2) 과립 (혼합 -> 연합 -> 제립 : Hight Speed Mixer) - 모든 공정에 영향을 주는 시작 공정 (결합제 조제: 에어 조제 탱크) - 혼합: 부형제 혼합 - 연합: 혼합물에 용제를 넣어 반죽 - 제립: 입자화 3) 건조 - 일반적으로 50℃, 55℃에서 건조 수분 2%이하가 타정에 적합 (2% 이상이면 타정기에 붙음 > 재건조, 너무 수분치가 작으면 깨짐) 4) 정립 - 균일하게 세립: 오실레이터, Super mill 5) 혼합 - 활택제(향,맛) 등 혼합과정: 드럼믹서 / .. 2022. 1. 7.
원자재 원자재: 원료약품 및 자재를 말한다. 1. 원료 원료약품이란 완제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물질(자재는 제외한다)을 말하며, 완제품에 남아 있지 아니한 물질을 포함한다. 원료의약품이란 합성, 발효, 추출 등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제조된 물질로서 완제의약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1) 원료 입고 -> 검체채취실 (청정등급2) '시험중라벨' -> 원료시험대기소 -> 적합판정 후 '적합라벨' -> 원료창고 -> 칭량전실 -> 칭량실 (청정등급2) / 무균칭량 (청정등급1) -> 칭량후실/세척 2) 원료창고 주원료, 부원료, 색소, 코팅원료, 액제, 주사제, 캡슐 등 - 향정창고/마약창고/저온창고 등 2. 자재 자재란 포장과 표시작업에 사용되는 용기, 표시재료, 첨부문서, 포장재료 등을 말한다. 자재창.. 2022. 1. 5.
GMP 개요4 [품질관리] 품질관리 QC 1. 시험 절차 1) 시험의뢰서 2) 시험지시서: 시험지시는 단순히 시험검체만을 지정하여 주는 것이 아니라 시험대상 의약품(제조번호 또는 관리번호)을 지정하고 이후의 관리를 위하여 시험지시번호를 부여한 다음 시험항목과 시험방법 및 기준을 지정, 지시자의 서명과 지시연월일을 기재한 후 시험을 지시하고, 시험이 시험지시서에 따라 진행되는지를 점검·확인한다. 일탈 및 기준일탈이 있는 경우 이를 조사하고 기록한다. 3) 공정서 규격에 따른 시험: 시험항목으로는 품목허가(신고) 사항에 따른 기준 및 시험방법 뿐만 아니라 자사의 규격으로 정한 품질시험도 자사 기준에 따라 실시한다. 4) Raw data: 시험기록은 설정된 규격 또는 기준에 적합하다는 것을 보증하는데 필요한 모든 시험자료가 포함되어야 .. 2022. 1. 4.
GMP 개요3 [공정서] 의약품 공정서: 중요한 의약품들의 제법, 성상, 성능, 품질 및 저장 방법을 정한 기준서 약사법의 규정에소는 '공정서란 약국방 및 국민 의약품집의 최신판 또는 이들의 추가 보완을 말한다'로 되어 있다. 질병 치료과 예방에 쓰이는 의약품은 그 강도, 품질 및 순도가 일정하지 않으면 실제 사용하는 경우에 여러 가지 장애가 일어날 위험이 있으므로 공정서로 약품의 기준을 정하고, 시험법을 일정하게 하여 항상 같은 종류의 약품은 동일한 품질에 있도록 한다. 따라서 공정서에 수록된 조항은 약사법에 근거하여 법적으로 강제력을 띠고 있고, 수록된 약품은 그 기준에 적합하지 않으면 판매, 수여 또는, 그 목적으로 제조, 수입, 저장 또는 진열하는 것을 금하고 있다. 1. 대한약전 (KP) 의약품등의 성질과 상태, 품질 .. 2022. 1. 4.
GMP 개요2 [기준서] GMP 기준서: 제품표준서, 제조관리기준서, 제조위생기준서, 품질관리기준서 가. 각 기준서는 일괄하여 작성할 수도 있고 각 업무에 따르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규정으로 분할해도 좋다. 여러가지 규정으로 세분하여 작성 할 경우 찾기가 편리하도록 해당 기준서에 그 문서의 번호를 목록으로 정리 한다. 나. 문서 또는 이들 4대 기준서 작성과 관리에 관한 규정, GMP 위원회 규정 등 GMP 운영 전반에 관한 사항 및 4대 기준서 어디에도 포함되지 않는 사항에 관한 규정은 별도로 작성한다. 다. 기준서 작성 및 관리 : 기준서를 작성할 때는 다음 사항을 유의한다. 1) 법적(품목허가증 등), 과학적 근거에 따른다[필요한 경우 출전을 밝힌다]. 2) 문서 양식을 정하고 통일성 있게 작성하며 페이지 번호를 매긴다. .. 2022. 1. 4.
GMP 개요1 GMP 1. 목적 1) 혼동, 실수 방지 2) 오염(균, 상호오염) 방지 3) 품질 유지 확보 (ex. 공정관리) 2. 용어 1) 제조번호 (batch no. = lot no.): 제조 단위에 따른 관리를 위함 -> 이상발생시 추적가능 2) 반제품: 제조 공정 단계에 있는 진행 중인 제품 3) 청정구역: 먼지의 수효를 particle counter로 측정하여 청정등급에 따라 관리 (1ft3내 입자수 측정 관리) 4) 원료의약품(약효를 가짐) < 원료약품 (제조에 사용되는 물질) 5) 자재: 용기, 표시재료, 첨부문서, 포장재료 6) 원자재: 원료약품 및 자재 7) HEPA FILTER: 공조 설비로 일정한 온,습도를 유지하여 먼지 입자를 여과하는 고성능 공기여과장치 3. 독립된 제조부서와 품질(보증)부서.. 2022. 1. 4.
반응형